그들 각자의 영화관

영화이야기|2016. 3. 15. 10:28



칸 영화제 60주년 기념작. 『그들 각자의 영화관』『이하¸ 『영화관』』의 목표는 이처럼 자명합니다. 거장이라 명명된 35명의 감독들이 모인 것도¸ 그들이 3분으로 국한된 러닝타임의 과제를 받아들인 것도¸ 모두 마찬가지 입니다. 『영화관』은 자신의 인생에 의미를 부여해 준 영화 그 자체에게 바치는 오마주이자 자신의 일상을 무덤덤하게 발췌하는 수기처럼 보이기도 하지만 실질적으로는 자신들의 영화를 존재케 하는 관객을 위한 헌사에 가깝다. 


제목에서 발견되는 그들이란 단어의 의미는 영화를 만든 거장들을 지칭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들의 영화를 보는 관객입니다. 영어 원제『To each his cinema』의 그들이 their가 아닌¸ 성별이 불분명한 사람들을 지칭하는 his로 표기된 건 이 때문일 것입니다. 왜냐면 그들이 감독 자신이라면 제인 캠피온과 같은 여류 감독이 포함된 자신들을 결코 his로 묶었을 리 없기 때문입니다. 어쨌든 이와 같이¸ 『영화관』은 말 그대로 영화를 보는 우리들¸ 즉 관객을 바라보는 감독들의 자발적인 주객전도 프로젝트라 할 수 있습니다. 



3분이라는 폐쇄적인 러닝타임을 통해 무려 32작품을 나열하는 『영화관』은 각각의 작품을 매만진 주인들의 이름만큼이나 매혹적인 것들로 채워졌습니다. 32구간의 여정은 프랑스 다큐멘터리의 거장 레이몽 드파르동의 『야외 상영관』에서 출발해 영국의 대표적인 좌파감독 켄 로치의 『해피 엔딩』에서 멈춘다. 3분이란 짧은 시간 안에 보여지는 제 각각의 사연들은 무덤덤하게 현실을 응시하거나 희극과 비극을 넘나드는 상황으로 연출되며¸ 우연처럼 보이는 상황극을 그려내거나 감각적인 영상을 통해 상징적인 의미를 전달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그 모든 이야기들이 일맥상통한 건 하나같이 스크린이 걸린 영화관-실내가 됐든¸ 실외가 됐든¸ 절대명사적 공간 의미가 아닌 영화를 트는 장소로서 명명되는-을 배경으로 하고 있다는 점입니다. 


극장에서 발견되는 대부분의 사람들은 영화를 보기 위한 이들이지만 그들의 태도는 각기 다르며 그들이 모두 다 하나같이 영화에 매혹되기 위해 영화관을 찾는 것도 아닙니다. 단적으로 페데리코 펠리니의 『8과 1/2』가 상영되는 극장의 텅 비었다시피 한 상영관에서 홀로 눈물을 흘리며 영화에 몰입한 늙은 매표원과 그 뒤에서 격정적인 애무를 즐기는 연인이 등장하는 안드레이 콘잘로브스키의 『어둠 속의 그들』은 무엇을 의미하는 것일까요. 영화는 애무를 즐기는 연인을 조롱하지도 혹은 늙은 매표원의 진지한 관람 행위를 미화하지 않고 그저 바라만 본다. 그들의 상영관은 각자에게 개별적인 의미가 있을 뿐¸ 그 자체로서 규정된 가치로 이해되지 않는 공간입니다. 감상의 다양성과 영화에 접근하는 태도의 차이는 상영관에 다양한 풍경을 연출합니다. 


거장이란 이름으로 불리는 감독들은 각자의 양식으로 자신만의 상상을 스크린에 담아냅니다. 그 안에는 심오한 의미적 해석도¸ 혹은 가치 부여에 대한 동기 유발도 하나같이 무의미하게 만드는 순수한 영화가 있을 뿐입니다. 영화를 기다리는 시골 아이들의 눈동자도¸ 앞을 보지 못하는 맹인이 흘리는 감동의 눈물은 영화를 위대하게 만드는 가치이자 영화를 존재케 하는 이유 입니다. 『상영관』은 우리가 영화를 어떻게 대하고 있는지¸ 혹은 영화란 것에 어떤 의미를 부여하고 있는가¸ 에 대해서 한번쯤 되묻고 생각하게 만듭니다. 영화란 지나친 예술적 숭배의 대상이 되어서도 안되지만¸ 자본의 수단으로 몰락해서도 안 되는 것임을¸ 우리는 이를 통해 한번쯤 재고할 필요가 합니다. 지나치게 경도된 취향을 계급주의적으로 강요하는 것도¸ 포식자의 식성처럼 유희적 탐욕을 남발하는 것에 대해서 경계할 필요가 있습니다.



물론 우리는 모두 다 그들 각자의 영화관을 찾습니다. 그곳에서 우리는 같은 것을 보면서도 다른 꿈을 꾼다. 어떤 이는 팝콘을 씹어대며 낄낄거리고¸ 어떤 이는 눈가에 글썽거리는 눈물을 참지 못하고 흘려 보냅니다. 어떤 이는 옆 사람과 대화를 나누기도 하고¸ 어떤 이는 결벽하게 오로지 스크린만을 응시합니다. 각자의 취향대로¸ 혹은 관람의 목적대로¸ 그들은 상영관을 찾음으로써 영화를 존재하게 만듭니다. 거장들이 그들에게 바치는 경배는 바로 이런 것입니다. 그들은 자신들이 영화를 사랑하듯 자신들의 영화를 사랑해주는 관객들에게 진심 어린 헌사를 보내고 있습니다. 『상영관』은 바로 관객이라는 지지자를 위한 영화의 애정 어린 편지와도 같으며 관객화된 영화의 객석관람기라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작은 것도 제대로 못하는 우리들은 왜 굳이 큰 걸 하려는 걸까요. 영화가 인용하는 짐 해리슨『Jim Harrison』의 말은 32편의 짧은 영화들의 태도를 함축합니다. 우리는 현실을 제대로 알아보지 못하면서도 때로 영화를 통해 꿈을 꾼다. 그건 우리가 어리석은 인간이라서 만은 아닙니다. 불완전한 인간은 현실을 완전히 이루지 못하기에¸ 그 현실을 완전하게 이루고 싶다는 꿈을 꿀 수 있습니다. 영화가 존재하는 건 우리가 꿈을 꾸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우리가 꿈을 꾸는 한¸ 극장은 언제나 존재할 것이며 언제나처럼 우리는 영화를 통해 자신의 꿈을 확인하고 되새길 것입니다. 그건 평범한 거장이나¸ 위대한 관객이나 마찬가지 입니다.

'영화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더 리더: 책 읽어주는 남자  (0) 2016.04.01
똥파리  (0) 2016.03.27
색즉시공 시즌2  (0) 2016.03.14
어거스트 러쉬  (0) 2016.03.10
우아한 세계  (0) 2016.03.04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