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식증 환자, 여성이 남성에 비해 15배 많아

생활정보|2015. 2. 14. 11:43

폭식증 환자가 최근 5년간 연평균 3.7% 증가했고 여성이 남성에 비해 무려 15배 많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이 폭식증 에 대해 최근 5년간『2008~2013년』 진료환자들을 분석한 결과¸ 연평균 3.7% 증가했고 성별 폭식증 진료인원은 2013년 기준 여성이 남성에 비해 15배 이상 많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폭식증의 연령별 진료인원을 살펴보면¸ 2013년 기준으로 20~30대가 진료인원의 70.6%를 차지하였습니다. 여성의 경우 20~30대가 여성 진료인원의 71.0%를 차지하였고¸ 이 중 20대가 44.9%를 차지하였습니다. 남성은 여성에 비해 진료인원이 많지 않지만 여성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20~30대가 남성 진료인원의 65.2%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이선구 교수는 폭식증 진료인원중 20대 여성이 많은 이유를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습니다. 



20대 여성은 이제 막 경쟁사회에 뛰어든 사회초년병으로서 취업에 대한 고민이 심하고¸ 결혼과 같은 인생의 중대사를 결정해야 하는 시기입니다. 게다가 미모와 날씬함을 강요하는 사회분위기로 인해 성형¸ 무리한 다이어트 등 체중이나 체형에 대한 스트레스를 가장 크게 받기 때문에 진료인원 중 20대 여성이 많은 것으로 보입니다. 또한 10대 중반 거식증으로 발생한 섭식장애 환자가 폭식증으로 전환되기도 합니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이선구 교수는 폭식증 질환의 정의¸ 원인¸ 증상¸ 치료방법¸ 예방 및 관리요령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설명하였습니다. 



폭식증의 정의 

끼니를 걸러 배가 많이 고픈 상태에서 몰아먹는 것을 흔히 과식이라고 하지만¸ 폭식은 일정한 시간『ex. 2시간』 안에 다른 사람들이 먹는 것에 비해 뚜렷하게 많은 음식을 먹으면서 음식이 조절되지 않는 느낌이 있는 것으로 정의합니다. 



폭식 후 체중증가를 막기 위해 구토하거나 설사약 등을 사용하는 부적절한 보상행동『구토¸ 설사제 사용¸ 지나친 운동 등』을 하게 되는데¸ 이러한 행동이 3개월 동안 평균적으로 1주에 2회 이상 나타나는 것을 말합니다. 

자신의 체중과 체형에 대하여 과도하게 집착하는 증상이 반복적으로 나타납니다. 



폭식증의 원인 

심리적으로는 낮은 자존감이나 자신감의 부족¸ 자신에 대한 불확실성의 문제를 음식과 체중이라는 외적인 방법으로 해결하려는 것이 원인입니다. 



생물학적으로는 시상하부-뇌하수체 축의 이상¸ 세로토닌¸ 도파민 등 신경전달물질의 기능적 이상¸ 렙틴과 그렐린과 같은 호르몬의 이상이 관련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사회적으로는 날씬함을 강요하는 사회 분위기가 영향을 줍니다. 



※ 거식증과 폭식증은 서로 바뀔 수 있는 식이장애¸ 서로 다른 장애가 아님. 예를 들어 음식을 제한하다가『거식증』 한계에 다다르면 폭식하고 구토하는 폭식증으로 바뀔 수 있음 



폭식증의 증상 

- 음식에 대한 조절이 어려움 

- 충동조절장애를 동반 

- 반복적인 폭식 

- 폭식에 수반되는 보상행동『구토¸ 설사제 사용¸ 지나친 운동 등』 

- 체중증가에 대한 공포 

- 폭식 후 우울감¸ 죄책감 

- 몰래 음식을 먹거나 매우 빨리 음식을 먹음 

- 자기평가가 체중에 좌우되고 다른 사람들이 자신을 어떻게 평가하는지 지나치게 신경을 씀 

- 작은 구토는 역류성 식도염을 동반하거나 치아손상을 발생할 수 있으며 설사제 등의 약물 남용과 구토는 전해질 불균형을 일으킴 



폭식증의 치료방법 

기본적으로 외래 치료가 가능하나¸ 폭식을 조절하지 못하고¸ 약물을 남용하거나¸ 잦은 구토 자살사고 등으로 전해질 불균형 등의 내과적 문제가 함께 생기는 경우 입원치료가 필요하며 자신의 신체에 대한 왜곡된 이미지를 교정하기 위한 행동 인지적 요법과 항우울제 등을 포함한 약물치료가 도움이 됩니다. 



폭식의 예방 및 관리요령 

자기 자존감의 회복과 체중 변화를 예민하게 생각하지 말고 건강한 식습관을 형성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하루 세 번¸ 균형 잡힌 식단을¸ 다른 사람과 같이 open된 장소에서 하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댓글()